[책리뷰] 이렇게만 하면 정말 해낼 수 있을까? [계획이 실패가 되지 않게 - 이소연]
「계획이 실패가 되지 않게」 - 이소연
맞다. 계획은 성공했을 때 의미가 있는 법!
책 제목부터 굉장히 실용적인 계획관리 노하우를 담고 있을 것 같은 책이다.
요즘 목표설정법과 계획관리법에 대해 고민이 많아 관련된 도서를 찾아보던 중,
실용적이고 또 쉬워 보이는 이 책 표지를 보자마자 바로 읽게 되었다.
실천을 염두에 두고 읽는 책이라면 무엇보다 쉬워야 하니까!
1. 책 정보
- 출간일 : 2021.11.
- 저자 : 외국 회사에서 개발자로 일하다 UX디자이너로 전직한 직장인.
- 주제 : 자기관리, 시간관리, 계획짜기, 목표관리, OKR, 프로젝트관리
2. 추천대상
1) 명확한 목표가 있고,
2)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뭘 해야 하는 지 아는데,
3) 계획관리가 되지 않고 의지가 자꾸만 사그라드는 사람
또는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리딩하는 팀장
에게 추천!
왜냐하면 이 책은 OKR이라는 목표관리 방법론을 위주로 소개하는데,
이 방법론이 애초에 회사의 팀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방법이라서
개인의 목표설정과 관리보다는 팀의 목표를 정량화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약 본인이 "인생의 목표가 뭔지 모르겠다~" 라거나, "막연히 돈 많이 벌고 싶다~ 근데 이유는 없다" 한다면
이 책은 정말 <실천할 수 있는 방법론>을 다룬 책이기 때문에 당장 필요한 얘기가 아닐 수 있다.
3. 책의 내용
(책의 구성을 그대로 따라가지 않고 내 마음대로 재구성하였음)
이 책은 OKR과 프로젝트관리법 두 가지 방법론을 혼합해 계획을 성공으로 만드는 방법을 보여준다.
OKR + 프로젝트 관리법
① 대체 OKR이 무엇인가?
구글에서 사용하는 목표관리법으로 유명한 이 방법론은
Objectives(목표) and Key Results(핵심 결과)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O(Objective)
- 내가 시간을 투자하여 좋아하는 일에 몰두함으로써 달성하고 싶은 것, 되고 싶은 모습이다.
- 영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목표를 제시한다는 데 효용이 있다.
KR(Key Result)
- O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 수치화할 수 있고, 성공 여부의 측정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 핵심
- 목표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수치를 통해 검증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뚜렷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효용이 있다.
② 프로젝트관리란 무엇인가?
- 착수 (뚜렷한 목표, 핵심결과 설정)
- 기획 (실행계획 수립)
- 실행 (실천의 습관화)
- 감시 및 통제 (꾸준한 점검)
- 종료 (회고와 학습)
의 단계로 순환되는 과정을 말한다.
1번 착수 단계에서 목표(O)와 핵심결과(KR)를 정의하고
그 이후의 단계는 이를 반드시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시된다.
③ 그거 어떻게 하는 건데?
그림으로 간단히(?)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이 그림은 내가 자의적으로 그린 그림이다. 작가의 의도를 조금 왜곡할 수도 있다는 점 주의바람 ㅎㅎ)
마치며
책에는 훨씬 더 구체적이고 활용가능한 설명과 예시가 나온다.
그리고 목표와 실천에 관한 작가분의 신념이나 동기부여를 위한 방법들도 많이 소개된다.
자기계발서적이 으레 그렇듯, 직접 읽으면서 감동을 느껴야 변화가 생기는 것이지,
이렇게 요약본을 읽는다고 마음에 와닿지는 않을 것이다.
이 책에는 따라해볼 만한 구체적인 방법들이 많이 소개 되고, 부담없이 읽을 수 있는 책이기 때문에
자기관리와 계획수립, 목표관리에 의지가 있는 분들은 정독해 보시길 권한다.
마지막으로 내가 이 책을 읽으며 감명받은 문장을 옮겨 적으며 리뷰를 마친다.
별똥별이 떨어질 때 소원을 빌면 이루어지는 이유는, 별똥별에 슈퍼 파워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별똥별이 떨어지는 그 짧은 찰나에 떠올릴 수 있을 정도로 강렬하게 마음에 새긴 무언가라면 자신의 의지만으로도 충분히 실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